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튜브 쇼츠 쉽게 만드는 방법

by newdawn2077 2025. 3. 1.
반응형

유튜브 쇼츠를 만드는 과정 자체는 어렵지 않습니다. 편집 자체는 1시간 이내로 끝날 만큼 간단하기 때문에 요즘 유튜브 수익을 내고 싶은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요. 유튜브 쇼츠를 만드는데 필요한 것 들과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확인해야 할 것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유튜브 쇼츠 만들기

글에서 소개할 내용은 자주 보이는 AI 목소리를 활용한 쇼츠를 만드는 방법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과정 요약

  1. 대본 만들기
  2. 녹음 혹은 TTS 활용
  3. 영상 편집하기
  4. 업로드 후 통계 보기

 

쇼츠 아이디어 및 대본

사실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너무 어렵게 접근하지 말고 평소에 자신이 즐겨보던 컨텐츠나 인기 쇼츠를 참고해서 어떤 주제의 영상이 만들어지고 있구나 참고하면 됩니다. 30 ~ 40초 기준 쇼츠라도 글자 수가 300자 내외라서 금방 작성 할 수 있을 겁니다.

 

목소리 녹음

직접 자신이 녹음 할 수 도 있겠지만 지금 당장 부담스럽다면 AI를 활용합니다. 요즘 생산되는 많은 쇼츠들이 타입캐스트라고 하는 AI 보이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브루, 일레븐랩스가 있습니다.

 

타입캐스트 목소리들

억양이 웃긴 쇼츠에 어울리는 목소리도 있고 좀 더 자연스러운 목소리도 있습니다. 그런데 워낙 목소리가 많아서 처음 선택이 어렵다면 아래 두 캐릭터를 참고해주세요.

 

  • 무열 : 따뜻한 느낌의 남성 목소리이고 상대적으로 느낌이 자연스럽다.
  • 창수 : 흔히 웃긴 썰 쇼츠에서 많이 나오는 목소리라 들어보면 금방 안다.

타입캐스트 이용 설명

편집 프로그램

편집 프로그램은 무료로도 충분한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쇼츠 편집에 가장 많이 소개되는 프로그램은 캡컷(Capcut)입니다. 유료 프로그램의 기능을 활용 하는 것 보다도 쇼츠 아이디어나 내용 편집 자체가 더 중요해서 무료 기능만으로도 크게 상관 없습니다.

 

 추가적으로 브루가 있는데 처음 영상을 만드는 사람이라면 브루가 더 좋을 수 도 있습니다. 적은 구독료를 결제하면 AI 목소리와 자동 영상 생성 기능도 같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쇼츠 썸네일

유튜브 썸네일 제작은 미리캔버스라는 무료 온라인 툴을 사용하면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쇼츠의 유입은 썸네일 보다도 쇼츠 피드 ( 시청자가 스마트폰을 넘기는 과정에서 나오는 영상 ) 비중이 더 높아서 신경쓰지 말고 넘어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따라서 유튜브 쇼츠는 썸네일 보다도 시청자가 영상을 본 처음 5초의 시간이 더 중요합니다.

 

 

유튜브 통계 확인하기

1) 쇼츠를 올린 후 1시간 ~ 2시간의 시간

쇼츠 플랫폼 특성상 구독자가 없어도 생각보다 영상 조회수가 1시간 동안 몇백명에서 천명정도로 늘어납니다. 이 시간동안 영상을 본 사람들의 반응에 따라서 유튜브 알고리즘이 영상을 퍼트리는 판단을 합니다.

 

 

2) 쇼츠를 올린 후 하루 ~ 이틀

1시간 동안 시청자들의 반응을 본 알고리즘은 영상을 더 좋아할 만한 시청자를 찾아서 영상을 퍼트리는데요. 만약에 이 과정 중에 적당한 시청자를 찾게되면 영상 조회수가 잘나오고 아니라면 영상 조회수는 몇백명에서 멈추게 됩니다. 하지만 이 과정이 꼭 영상이 재미있고 없고와 상관 없이 운에 따라서 잘 안나오게 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유튜브 쇼츠 참여도_1
유튜브 쇼츠 참여도_2

 

자신의 채널에서 쇼츠 영상 분석을 확인하면 시청자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위의 그래프 예시를 보면 1번 영상의 반응이 좀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0초 동안 시청자가 일정하게 끝까지 시청한데에 반해 2번 영상은 중간 중간 이탈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무리

결과적으로 유튜브 쇼츠를 만드는 것에 중요한 것은 얼마나 비싼 장비나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가 보다 아이디어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영상을 만드는 것에 필요한 돈이 부담스럽다면 저렴한 서비스를 사용해서 자신의 쇼츠를 시험해보고 반응을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반응형